경찰 계급 (순경 ~ 치안 총감) 알아 보기

공무원이 되기 준비하는 수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공무원이 있겠지만, 이번 글에서는 경찰 공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찰 하면 참 멋진 직업인데, 계급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찰 계급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01. 경찰 계급 분류

경찰 계급은 경찰 공무원법 제3종에 의해 가장 높은 계급의 치안총감(治安總監), 치안정감(治安正監), 치안감(治安監), 경무관(警務官), 총경(總警), 경정(警正), 경감(警監), 경위(警衛), 경사(警査), 경장(警長), 순경(巡警)까지 총 11개의 계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급장 구분 상단 계급 경찰 계급 계급장
태국무궁화 차관 치안총감
1급 치안정감
2급 치안감
3급 경무관
무궁화 4급 총경
5급 경정
6급(갑) 경감
6급(을) 경위
무궁화 꽃봉오 7급 경사
8급 경장
9급 순경

 

 

02. 경찰 계급 



1. 순경

지구대,  경찰서 및 기동대 등에서 가장 막내 계급이 순경인데요. 9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계급으로 경찰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고 가장 먼저 받는 계급인데요. 회사로 치면 대졸 사원 정도라고 생각하게되면 되겠네요.

 

미국경찰
순경 계급 - 미국 경찰


2. 경장

회사로 치면 대리급 정도로 순경을 막 벗어난 수준인데요.  경장 승진 시험이 어렵지 않아 대부분 쉽게 경장으로 진급을 한데요. 그래서 일부는 순경이 모자라는 곳에서는 경장이 일을 도맡는 경우가 많아요. 사실상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일반 순경보단 경장을 훨씬 많이 볼 수 있어요. 경장은 8급 공무원으로 대우를 받고, 군대의 중사나 소방 쪽의 소방교에 대응하는 계급인데요.

 

영국경찰
경찰계급 - 영국 경찰


3. 경사

과거에는 순경으로 경사까지 13년 이상이 소요되었어요. 하지만, 최근에는 근속승진 연한이 짧아지면서 연령대가 낮아져 30대에서 40대 초반이 경사를 달고 있다면이 많아요. 대략 10년 정도의 경찰생활을 하게 되면 경사로 승급하게 돼요. 공무원 7급에 해당하게 됩니다.

 

2000년 초반까지만 해도 승진 연한이 길어 경사로 정년퇴직하는 비율이 많았어요. 그러나 최근에는 근속승진 제도로 시험을 보지 않고 큰 문제만 없으면 경감까지 승진이 돼요. 그래서 지금은 경사로 정년 퇴임하는 사람은 볼 수 없어요.

 

 

승진 연한

순경 4년
경장 5년
경사 6.5년

경찰 계급 - 중국 경찰

 

 

4. 경위

일반직 공무원으로 보면 6급에 해당해요. 군인의 경우 위관급 장교(소위), 소방에서는 소방위에 해당해요. 경찰(경위) 공개경쟁채용시험을 통과해서 임용되거나 경찰대학을 졸업하게되면 이 계급으로 입직하게 돼요.

 

일반적으로 드라마에서 많이 보는 경찰대 출신의 경우 바로 이 직급인 경위로 시작을 하게 되는데 일반 경찰직인 순경으로 입사한 사람보다 약 10년을 먼저 시작하는 셈인데요.

 

경력 경쟁 채용

소령으로 3년 이상 근무 
or
회계사로 2년 이상 근무

 

경위의 경우 경력 경쟁 채용으로도 입직이 가능한데요 소령으로 3년 이상 근무하거나,  회계사로 2년 이상 근무한 경우 지원이 가능해요. 

 

경찰 계급 - 일본 경찰

 

경위부터는 경찰간부로 사법경찰관에 해당되고 독자적으로 범죄사실에 관한 의견서를 작성할 수 있어요. 사법경찰관의 지위에 있는 경위부터 긴급체포권을 발동할 수 있는 권리가 생깁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경위만 달아도 파출소장으로 여유롭게 생활하다가 퇴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2010년대 중반부터는 계급별 인원의 역피라미드 현상을 걱정해야 할 지경에 있어요. 초임 경위일 경우 소위와 비슷한 느낌으로 전경대나 의무경찰대에서 소대장 역할을 많이 맡아요.

 


5. 경정

국가직 공무원 5급 사무관과 동일한 수준으로, 신규 및 승진임용과 면직에 한정해 임명권을 대통령이 가져요. 경정의 계급 정원은 약 3,000여 명인 데요. 경정부터는 현장에 나갈 일이 거의 없고 나가더라도 이슈가 크거나, 긴급한 사건에만 현장 지휘를 위해 출동하는 준 고위급으로 볼 수 있어요.

경정부터는 성적순에 따라 자신이 지원한 5개의 시도 경찰청 중 한 곳으로 가서 근무를 하는 것이 필수인데요. 일선 경찰서의 과장들이 이 계급으로 보시면 되겠네요. 일반적인 회사의 과장과는 많이 다른 느낌인데요. 시 도의 경찰청 계장 및 팀장, 대형 지구 대장, 경찰관 기동대장, 전경대 대대장, 경찰특공대 부대장, 기동단, 경비단 부단장 등에 해당해요.

 

경정은 승진시험이 있는 마지막 계급으로 난이도가 준 고시급인데요. 그렇므로 시험 승진은 말 그대로 고시라고 일컬어지고 있어요. 경정 정년이 14년이라서 총경으로 승진하지 못한 면 퇴직 할 수밖에 없어요.

 

 

경찰 계급 -  아이유

 

6. 경감

경감은 경찰의 6번째 계급으로 일반직 공무원의 6급(갑)에 해당됩니다. 중앙부처의 보직상 국군의 소령와 같은 6급 주무관에 보임됩니다. 

경감부터 경찰의 실질적인 간부로 여겨집니다. 비간부 출신(순경 입직)에서 경감까지 올라온 인물들은 능력(시험, 처세, 검거 등)이 뛰어나고 경력도 쌓여있기 때문에 무게감이 장난이 아닙니다. 보통 총경인 서장들도 경감과는 상호존대를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흔히 간부의 시작을 경위로 보기에 간부의 두 번째 계급으로 인식하나 대신 계급정년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1998년 이전까지는 계급정년 15년이 적용되었지만 철폐가 되었습니다.

경찰 약 14만명중 상위 10프로 전후의 계급이였으나 근속확대로 점차 인원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경찰 로고

 

7. 총경

중앙부처, 광역자치단체 과장급인 일반직 4급 서기관에 해당돼요. 중심경찰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찰서장이 총경에 해당해요. 육군의 대령, 소장의 송방정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계급정년은 11년인데요. 모든 임용권이 대통령의 임용권 행사로 이루어지며, 총경부터는 심사를 통한 승진으로만 승진이 가능해요.

총경 승진이 어려운 이유는 22년 기준, 경정이 2,800여 명 경감이 20,000여 명 경위가 45,000이 되는데 총경의 정원이 600명인데요. 이것만 봐도 얼마나 승진이 어려운지 알 수 있을 것인데요. 총경 승진자는 1년에 100명도 안되고, 순경에서 총경까지 승진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인데요. 주요 보직은 경찰서장인데요.

 

경찰 계급 



8. 경무관

국군의 준장, 소방의 소방준감에 대응되는 계급인데요. 경찰 계급의 별로, 군대로 따지면 원스타인데요. 경무관은 정원이 83명 정도며 정년은 6년이며, 부속실 직원이 비서의 역할을 해요. 시 도 경찰청이나 경찰청 단위로 넘어가게 되며,

2020년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경무관까지의 사법경찰은 검사의 지휘 없이도 업무가 가능하게 되었어요. 경찰청의 국장급, 제주청 차장, 서울청 기동본부장 및 제주청을 제외한 전 시 도 경찰청 부장급에 해당해요.

 

경찰 계급 - 워싱턴 경찰


9. 치안감

경찰청 본청의 국장급이나 시 도 경찰청의 수장들이 보직되는 계급에서 최상위 계급인데요. 일반직 공무원의 직급에서는 이사관(2급) 대우를 받습니다. 행정안전부 인사관리상으로는 고위공무원단 나급과 같은 관리를 받으며, 계급 정원은 30명, 정년은 4년인데요.

 


경무관 이상의 승진 심사는 조직 내 승진심사위원회가 아닌 대통령의 정무판단으로 이루어져요. 경찰인사위원회를 거치지만 결국 청와대의 대통령 판단으로 결정이 돼요. 이것만으로도 얼마나 높은 자리인지 알 수 있을 것인데요. 행정안전부의 경찰국장이 치안감으로 임명되며, 치안감은 형사소송법상 사법경찰관이 아니며 관리업무를 하는 행정경찰로 검사의 지휘를 받지 않아요.

 

경찰 계급 - 경찰 자동차



10. 치안정감

일반직 공무원의 관리관(1급) 대우를 받습니다. 행전안전부 인사관리에서는 고위공무원단 가급으로 봐요. 계급에 대한 정년은 없고 보직에서 해임되면 퇴직하여야 해요. 대한민국 경찰과 해양경찰청을 합쳐서 치안정감은 총 9명 이 있어요. 그중 최고의 요직은 서울특별시 경찰청장은 경찰청장 승진 1순위로 볼 수 있어요.

 

경찰 계급 - 세계의 경찰

 

11. 치안총감

경찰 계급 중 가장 높은 계급으로 차관급 특정직 공무원에 해당하는 계급인데요. 차관급 공무원은 일반적으로 정무직이어서 정치인이나 일반인 전문가 중에서 차관 임명이 가능해요. 하지만, 경찰청장으로 임명되는 치안총감은 무조건 경찰공무원만 가능해 오로지 치안정감 계급에서만 승진 심사 대상에 오를 수 있어요.

경찰인사위원회라는 철차를 거쳐서 오르지만 실질적으로는 대통령의 결정에 따른다고 볼 수 있어요. 티브이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인데요. 경찰청장은 인사청문회 대상이기에 인사검증을 하며 티브이에서도 중계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경찰청장과 해양경찰청장의 임기는 딱 2년에 연임이 불가능하기에 해당 계급은 2년만 유지할 수 있어요.

또한 인사권자의 판단에 의해 임기 도중 해임도 가능해 큰 문제나 사건이 있을 경우 언제든 책임을 지고 옷을 벗기도 해요.

경찰 계급 - 미국의 경찰들

 

 

이 번글에서는 경찰 계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